비욘드리얼리티

사람들이 주목하고 관심을 갖는 기술의 키워드가 매년 새롭게 떠오르는 시대가 되었다.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하기도 전에 용어와 트렌드가 바뀌는 경험이 계속되고 있다. 암호화폐의 가치는 격렬하게 오르다가 내리기를 반복하고 있고, 그 숫자를 보는 경험도 가끔은 가상현실처럼 느껴질 때도 있다. 그 사이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과 기후 위기는 존재의 기반마저 송두리째 흔들어 버렸다.
변화의 모습은 현란하고 혼란하지만, 그것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모든 부문에서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화학적으로 빛을 박제하고, 그것을 활동사진으로 만들어 생생한 이미지 기반의 스토리텔링 세계를 구축해 왔던 영화는 이제 완벽한 디지털화 과정을 통해 복제와 전송이 빛의 속도로 가능한 단계로 접어들게 되었다. 초고화질이라 하더라도 1분 안에 전송할 수 있게 되었고, 굳이 다운로드를 하지 않더라도 인터넷이 연결된 곳에서는 어디서든 마음껏 즐길 수 있게 되었으며, 이제는 종이 티켓을 사기 위해 극장 앞에서 줄을 서며 느끼던 설렘도 오랜 기억의 저편으로 사라졌다. 오히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대에 박제된 스토리는 답답하게 여겨지기까지 한다.
그렇다고, 스토리텔링의 본질까지 변화한 것일까? 인류가 오랜 세월 축적해 놓은 이야기 자산은 현재에도 유효한 것일까? 올해로 일곱 번째를 맞이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의 XR 부문 ‘비욘드 리얼리티’는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을 맞이하는 스토리텔링의 변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디지털 세상으로 변모해가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을 주고받으며 발견되는 스토리 월드의 모양새를 집중적으로 조망해 보고, 기술과 매체의 변화가 이끌어가고 있는 정체성의 변화, 소통 방식의 변화에 특히 관심을 기울여본다.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존재에 다가가는 소통의 경험, 그것이 타인일 수도 있고, 아니면 또 다른 ‘나’일 수도 있다. 소통의 대상은 사람일 수도 있고, 사람처럼 행동하는 정보의 덩어리일 수도 있다. 반대로 정보의 덩어리로 표현되는 나는 어떤 모습일지도 상상해 보고 경험해 보길 바란다. 확실히 실시간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세계의 스토리텔링 방식은 과거와 다른 부분이 있다. 과거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그대로 이식하다 보면 영 어색하기 마련이다. 그 지점을 많은 창작자들과 관객들이 발견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경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작품들을 모아 선보인다.
공연과 가까워 보이는 작품, 프로젝션 매핑(Projection Mapping)을 활용한 작품, 다양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실험해 보는 가상현실 작품들. 이 작품들이 기존의 영화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느끼기보다는 영화인들의 꿈이 어떻게 확장되어 가고 있는지를 경험해 보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XR큐레이터
김종민

비욘드 리얼리티 Beyond Reality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의 ‘비욘드 리얼리티’는 다채로운 작품과 풍성한 행사 구성으로 관객을 맞이한다. XR을 활용한 콘텐츠는 나날이 그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다.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몰입적인 세계관을 구축하면서도 그 표현 방법은 프로젝션 매핑(Projection Mapping) 에서부터 공연의 형태까지 다양해지고 있다. 그 방향성과 지금까지의 성취를 반영하여 관객들의 기대를 뛰어넘는 몰입형 콘텐츠를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많은 한국의 작가들 작품을 전시의 형태로 조명할 예정이다. 문준용 작가의 환상적인 그림자 프로젝션 매핑 세계로 감각하고, 권하윤 작가의 작품을 통하여 격변하는 시기의 서울을 되돌아보며, 김경묵 감독이 공간과 함께 풀어낸 자전적인 이야기에 참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증강현실, 공연, 게임, 디지털 아트 등 감각적으로 확장된 형태의 작품들이 당신과 새롭게 마주하는 것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물리적인 거리를 뛰어넘는 소통의 경험을 통해 디지털로 표현되는 타인, 혹은 ‘나’와의 관계를 경험할 수 있다. 코로나 판데믹의 어둠이 걷혀가면서 새롭게 돋아나고 있는 스토리텔링과 표현영역의 발전을 ‘실감’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다시 부천으로!

올해 ‘비욘드 리얼리티’는 한국만화박물관과 현대백화점 중동점에서 에서 동시 개최한다. 팬데믹 기간, 멀리 떠나야만 했던 ‘비욘드 리얼리티’는 올해 다시 부천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마침내, 응축되고 축소되던 많은 행사가 뜨거워지는 날씨와 함께 점점 가열되기 시작했다. 차가워진 당신의 심장을 다시 뜨겁게 만들어줄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를 기대하시라!

비욘드 사이언스*

2022년 한국과학창의재단의 ‘민간 과학문화 활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전 세계 유수의 XR작품 중 SF, 자연과학, 그리고 환경을 주제로 하는 작품을 선정했다. 과학적 주제를 매개로 11일간 펼쳐지는 다양한 콘텐츠는 영화제 기간 중 한국만화박물관 1층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BIFAN x SANDBOX Immersive Festival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와 샌드박스 이머시브 페스티벌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XR콘텐츠 플랫폼으로, 지난 2019년부터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 나갈 예정이며, 특히 올해 안으로 VR헤드셋뿐 아니라 PC, 모바일 등 멀티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버추얼 플랫폼을 선보일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 중이다.

BIFAN x Unity Short Film Challenge

지난 2021년 제2회 ‘BIFAN x Unity Short Film Challenge’를 통해 제작된 5편의 작품이 제26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XR부문 비욘드 리얼리티 전시를 통해 선보여질 예정이다. ‘BIFAN x Unity Short Film Challenge’는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와 유니티코리아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신진 창작 인력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영화제 기간 중 다음 시즌의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다.
새로운 매체를 받아들이고 활용하는 과정은 어렵고 무모한 도전이다. 젊은 아티스트들의 도전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는 적극 지지한다. 용기 있게 도전하라. 이상해도 괜찮으니까.